구조와 전체 기능면에서 코끼리 코를 모델로 한 Bionic Handling Assistant는 얼핏 보면 유연한 그리퍼 암처럼 보입니다. 이 시스템은 Festo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기술과 부품을 결합한 개발 플랫폼 기능도 합니다.
Bionic Handling Assistant는 자유롭게 움직이며 유연하게 작동합니다. 기계와 사람이 직접 접촉할 때에도 안전합니다. 충돌이 발생하면 공압 벨로우즈 구조가 즉시 피하기 때문에 기존 로봇처럼 주의하여 사람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보조 시스템은 2010년 독일 미래상을 받았습니다.
Bionic Handling Assistant의 그리퍼는 3개의 적응형 핑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 원리는 동물에서 파생되었습니다. 물고기 지느러미와 마찬가지로 Fin Ray Effect®를 탑재한 구조는 측면 압력의 영향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압력 지점 주위를 아치형으로 감쌉니다. 이처럼 핑거는 파지 대상물을 부드럽게 감싸 깨지기 쉽고 서로 다른 형태의 물체들을 손상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Bionic Handling Assistant는 인간과 기술이 어떻게 미래의 공장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무엇보다 안전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 시스템은 기계 및 핸들링 솔루션에 대한 기계 장치, 전자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동시 개발을 위한 다중 기술 플랫폼이 됩니다. 2012년 엔지니어들은 어시스턴트에 이미지 및 음성 인식을 추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이나 수동 조작 없이 독립적으로 대상물을 집을 수 있습니다.
이 지속적인 추가 개발은 Bionic Learning Network가 Festo의 혁신 프로세스에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파트너와 함께 자연의 원리는 기술 애플리케이션과 미래의 산업을 위한 새로운 자극을 제공합니다. Bionic Handling Assistant는 프라운호퍼 생산 기술 및 자동화 연구소(IPA)와 협력하여 개발하였습니다.
그리퍼 암의 그리퍼와 벨로우즈 구조는 모두 선택적 레이저 소결 공정(SLS)을 통한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집니다. 생성적인 제조 공정을 통해 기존 기술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개별 동작 시스템 부품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소재는 처음에 분말 형태이며 생산 공정 중에 얇은 분말 층이 프린팅 베드에 도포됩니다. 각 층은 레이저에 의해 아래층과 용해되고 프로그램이 지정한 곳만 경화됩니다. 분말은 캐비티에서 경화되지 않아 나중에 다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제품 및 디자인의 개별 3D 프린팅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